전자 악기의 발명

사운드 신디시스(사운드 신세시스, 신시사이징, 또는 사운드 합성)의 역사는 백년이 훨씬 넘었습니다. 신디사이저의 원형이라고 알려진, 전자악기 Telharmonium“텔하모늄”(Dynamophone’다이나모폰’이라고도 부릅니다.)은 1896년경 빅토리아 시대에 개발되었으니까요. 이것의 기본 전제는 가산 합성(additive synthesis)이었으며, 해몬드 오르간과 마찬가지로 톤휠을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전자기적, 전기기계적 방식은 훗날 20세기 후반 일어날 혁신에 아주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1928년, 프랑스의 첼리스트 겸 라디오 엔지니어인 Maurice Martenot는 Ondes Martenot”옹드 마르트노”를 발명했습니다. 이 전자 악기는 오른손 검지에 금속 반지를 끼고 연주합니다. 이 반지가 철사를 따라 미끄러지면 음이 생성됩니다. 나중에 출시된 버젼들에는 키보드 기능이 더해지며, 요즘은 흔히 볼 수 있는 터치 감도, 비브라토 또는 여러개의 웨이브폼 사용과 같은 기능도 추가되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Musée de la Musique (Music Museum), La Villette (Paris)

옹드 마르트노는 1988년까지도 새로운 모델로 계속 출시 되었으며, 1930년대부터 지금까지 많은 영화음악에 사용되었습니다. 가장 유명한 영화로는 2001년 “아멜리에”, 2007년 “There Will Be Blood (데어 윌 비 블러드)” 등이 있습니다. 이 악기의 소리를 들어보아요!

아래 영상은 Soniccouture사의 ‘옹드 마르트노’ 가상악기인 “ONDES” 제작을 위한 샘플링 과정 중 촬영본입니다.

그 이후 가장 잘 알려진 20세기의 전자 사운드라고 하면 Leo Theremin이 1928년에 발명한 Theremin”테레민”일 것입니다. 조금 으스스하게 느껴지기도 하는- 매력적인 전자 비브라토 사운드는 요즘의 작곡가들에게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공포와 스릴러 영화음악의 상징과도 같게 되었습니다.

이 악기를 연주하는 데는 물리적인 접촉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몸을 대는 것 대신, 한 손으로 주파수를 제어하고 다른 손으로는 두 안테나와의 거리로 앰플리튜드를 제어합니다. 그래서 연주가 어렵기도 하지만, 이 악기를 잘 다룰 수 있는 거장들은 엄청난 표현력으로 듣는 사람을 압도시키기도 합니다. 마치 현악기같을 때도 있고, 오페라 싱어처럼 들리기도 해요. ‘레오 테레민’의 “테레민” 연주, 직접 감상해볼까요?

이제 오래 된 흑백 영상들에서 나와서, 좀 더 익숙한 단어인 “보코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처음에는 시그널의 대역폭을 줄여 장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개발된 (통신을 위한) 기술이지만, 로봇과 같은 재미있고 흥미로운 소리가 지금은 많은 뮤지션들에게 의해 음악에 쓰이면서 대중화되었습니다.

하드웨어 보코더들 또는 아이조톱 VocalSynth<보컬신스>, 사운드토이즈 Little AlterBoy<리틀 얼터보이>, 폴리버스 Manipulator<머니퓰레이터>등의 소프트웨어들로도 보코더 사운드 연출이 가능합니다.

작곡가의 미디가게 블로그의 첫 시리즈로, 짧은 글들로 사운드 신디시스에 대한 기초적인 내용을 함께 살펴보려고 합니다. 대부분의 신디사이저들을 이해하기 위해서, 필요한 관련 용어들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럼 다음 글에서 또 만나요!